Zoom과 Brightcove의 기능 통합 정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전시회, 기념식, 포럼, 세미나 등 이벤트의 동영상 스트리밍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스트리밍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웹 세미나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일본에서도 온라인 이벤트로의 전환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OTT 광고의 성장세

호황을 누리고 있는 OTT

커넥티드 디바이스(CTV)의 트래픽은 매우 높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트래픽과 깔끔한 고품질 경험으로 인해 CPM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콘텐츠의 프리미엄 특성으로 인해 브라이트코브 고객들은 2017년 4분기부터 2018년 4분기까지 eMarketer가 관찰한 19.84~28.33달러의 범위를 뛰어넘는 25~70달러의 CPM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경쟁이 치열하고 혼잡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서 이러한 높은 CPM과 낮은 시청자 진입 장벽은 미디어 회사에게 광고 지원 모델을 매력적으로 만듭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그동안 광고가 없는 것으로 유명했던 HBO도 2021년부터 HBO Max 서비스에 광고를 포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미디어컴과 같은 에이전시들은 스마트 TV와 게임 콘솔을 핵심으로 하는 OTT 전문 부서를 출범시키기도 했습니다.

브라이트코브에게 ANZ 지역은 디지털 광고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선도적인 지표가 되어 왔습니다. ANZ 시장은 무료 방송사와 유료 콘텐츠가 아닌 콘텐츠가 지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 분야에서 리더십과 혁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호주 동료, 고객 및 파트너에게 글로벌 OTT 광고의 도전 과제와 기회에 대해 의견을 물었고, 그 첫 번째 주자로 IAB 호주 CEO인 가이 르 로이(Gai Le Roy)를 선정했습니다,

"호주 시장은 지난 12개월 동안 대형 스크린 인벤토리에 대한 현지 미디어 소유주의 동영상 수익 비율이 23%에서 40%로 증가하면서 TV 투자가 크게 급증했습니다. 이러한 거래 증가는 소비 증가와 함께 선형 TV 시청자 수 감소로 인해 줄어든 도달 범위를 대체할 수 있는 퍼스트 파티 데이터를 통해 고품질 환경에서 인벤토리를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한 광고 대행사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OTT 광고에는 여전히 과제가 있습니다.

데스크톱에서 제공되는 추적, 보고 및 타겟팅 기능과 CTV에서 제공되는 기능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었고, 모바일은 그 중간 정도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다른 디바이스에 비해 CTV의 시청률이 낮았습니다. OTT 환경에는 고유한 측정 문제가 있지만, 이러한 인벤토리는 기존 온라인 동영상 광고와 마찬가지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이를 이해하고 올바른 기대치를 가지고 협상 테이블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가지 일반적인 예로, 일부 광고주는 조회 가능성이 포함되지 않거나 쿠키를 드롭하지 않는 인벤토리를 구매하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의 국제 제품 관리 담당 부사장인 마크 스탠튼은 "깔끔한 대형 화면 환경에서 볼 수 있는 가치는 CTV에서 거의 존재하지 않는 가시성 지표의 가치보다 훨씬 크지만 구매자들은 여전히 변화를 더디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상황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표준: 이에 따라 업계 리더들은 IAB의 오픈 측정 SDK와 같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고안된 이니셔티브에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마트 TV도 점점 더 사용하기 쉬워지고 있습니다. 업계의 여러 팀은 표준화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삼성, LG, 플레이스테이션 등에서 작동하는 범용 HTML5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매자가 동참하지 않으면 이러한 노력은 물거품이 됩니다.

구매자들의 요구사항이 완화되고 있습니다: 구매자는 웹에서 익숙한 세분화된 리포팅을 제공받지는 못하지만, OTT에서 기회를 발견하면서 요구 사항이 완화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지만, 구매자들은 TV 광고가 본질적으로 시청 가능하다는 사실을 더 많이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일부 DSP는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여 인벤토리가 TV에서 나오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웹 및 앱과는 다르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Google의 쿠키 단계적 폐지 및 GDPR에 따른 사용자 추적 제한과 같은 다른 요인도 행동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TV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추적 기술은 곧 웹에서도 사용할 수 없게 될 것이므로 구매자는 이에 적응해야 합니다.

비디오 광고 플랫폼 Telaria의 아태지역 수석 부사장인 줄리엣 스테드는 "BVOD(주문형 비디오 방송)는 100% 시청률이 보장됩니다. 현재 대부분의 구매자는 시청 가능성 공급업체가 CTV를 위한 일관된 제품 솔루션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텔레비전의 힘과 가치, 장기적인 이점을 인식하고 100% 시청 가능한 전문적으로 제작된 큐레이션된 콘텐츠가 브랜드에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진 현명한 구매자들 사이에서 CTV 전반의 시청 가능성 측정에 대한 필요성은 일반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일반적으로 BVOD, 특히 CTV는 지난 24개월 동안 다양한 광고주 카테고리에서 수요가 크게 증가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투자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오디언스 데이터의 발전: 미디어 기업들은 이름과 장르를 넘어 콘텐츠에 대한 더 많은 컨텍스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선도적인 기업들은 콘텐츠에 AI 인덱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방송사가 CTV에서 시청자 데이터를 구축해 왔습니다. 그러나 에이전시 CTV 데이터는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업계에서는 시청자 데이터를 검증하고 공동 시청 추정치를 발전시키기 위해 시청자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AVOD 시청자의 4분의 3이 시청 세션의 절반 이상을 다른 사람과 함께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습니다."라고 IAB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이 르 로이(Gai Le Roy)는 말합니다.

제한된 에이전시 데이터는 미디어 기업에게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광고 대행사가 타겟팅을 원한다면 미디어 회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매해야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대행사가 자체 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구매하면 CTV 인벤토리가 간과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일 수 있습니다. 서드파티 데이터가 등장했습니다.

닐슨, 오즈탐, 모트와 같은 타사 측정 및 데이터 제공업체는 공동 보기 측정과 같은 솔루션과 Roku와 같은 공급업체의 제조업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규모와 이러한 데이터가 거래되는 방식 등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은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방송사 TVNZ와 폭넓게 협력해 온 트래픽 소프트웨어의 수석 컨설턴트 피터 헤닝(Peter Henning)은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퍼스트 파티 데이터 '로그인 및 연합' 솔루션을 통해 OTT 퍼블리셔와 기술 벤더가 달성할 수 있는 혁신을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라고 말합니다.

줄리엣 스테드에 따르면, "Telaria는 호주 및 뉴질랜드의 여러 방송사, 즉 Seven West Media, Nine Entertainment, Foxtel, Ten, SBS, TVNZ 및 Mediaworks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모두 데이터 캡처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퍼블리셔 DMP와 통합하여 CTV를 포함한 모든 디바이스에서 타겟팅 목적에 맞게 BVOD 공급을 가장 잘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별 또는 카테고리별 타겟팅을 위해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방송사는 광범위한 타겟 도달 캠페인을 위해 브랜드가 제시하는 다양한 요구 사항을 모두 충족하는 솔루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다

"광고주를 위한 가치 제안을 늘리기 위해 OTT의 여러 측면에서 혁신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서버 측 광고 삽입 기반과 통합되어 OTT 퍼블리셔에게 실행 가능한 제품 경로를 제공해야 합니다."라고 Henning은 말합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양질의 시청 경험을 기대하며, 업계는 맥락에 맞는 인터랙티브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케팅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전환해야 합니다."

브라이트코브는 업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바탕으로 이러한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광고 의사 결정 시스템에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와 퍼블리셔가 사용할 수 있는 광고 게재(또는 미 게재)에 대한 데이터 등 CTV 서버 측 광고 삽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개선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습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을 염두에 두고 SSAI 측정을 개선하고 유연한 수익 창출을 통해 OTT 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플레이 에피소드 "문제 해결"에서 확인하세요: 브라이트코브 플레이어에서 광고 게재 문제 해결하기".

정기구독 동영상 평가판 전환을 계산하고 늘리는 방법

평가판은 동영상 구독 서비스에서 항상 효과적인 고객 확보 도구였습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 유사 캠페인부터 독점 콘텐츠 또는 인기 영화 프로모션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객이 평가판에 가입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무료 평가판 전환율을 높이려면 무료 평가판 전환율을 올바르게 측정하고 오늘날의 무료 평가판 모범 사례를 활용해야 합니다.

무료 평가판 전환율

무료 평가판 전환은 성공적인 SVoD 비즈니스에서 모니터링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유료로 성공적으로 전환된 총 평가판 수를 특정 날짜에 전환할 수 있는 평가판 수로 나눈 값으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환 성공 건수
----------------
전환 대상 평가판 수

 

하지만 구독 동영상 비즈니스에는 전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수가 있습니다.

거의 모든 동영상 비즈니스는 월별 청구 요금을 일일 청구로 일괄 처리하므로 청구 시도가 실패하면 일일 전환 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실패한 청구 시도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재시도 메커니즘과 간격을 사용합니다(독촉 프로세스라고도 함). 전환율을 비교할 때는 일관된 계산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환율 방법론

브라이트코브는 독촉 방법론에 관계없이 모든 고객의 전환율을 계산할 때 동일한 방법론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일 고객 계정 내에서 다양한 고객 코호트의 전환율을 비교하고 업계 벤치마크를 제공하여 주요 지표가 유사한 서비스와 어떻게 비교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무료 평가판 전환

전환율을 계산하는 방식은 한 가지 작은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계산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전환율 변수

예를 들어, 특정 날짜에 전환할 수 있는 평가판이 100개이고 그 중 70개가 청구를 통과한 경우 표준 계산은 70% 전환입니다. 하지만 브라이트코브에서는 실패한 청구 거래도 고려하여 전환율을 표준화합니다.

무료 체험 고객 중 일부는 체험 기간이 끝나기 전에 취소를 요청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전환할 수 있습니다. 원래 100명 중 20명(자발적 취소)이 취소를 요청하고 나머지 80명은 청구를 진행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80명 중 70명은 성공적으로 청구를 통과하여 유료 사용자로 전환하고, 10명은 청구에 실패하여 독촉 절차에 들어갑니다.

평가판 전환 청구 시도가 실패하면 해당 구독은 독촉 프로세스 청구 규칙에 따라 청구 재시도를 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 100명이 7일 평가판에 등록(1일차)
  • 20명이 해당 평가판 기간 중 자발적으로 취소합니다(해당 청구일에 평가판이 종료됨).
  • 8일차에 80건의 청구가 처리되고 그 중 10건이 실패합니다.
  • 1일차 고객의 전환율은 77.8%입니다.
  • 100명 가입, 20명 취소, 10명 재시도 보류

 

70건의 성공적인 청구 거래
----------------
90건의 전환 대상 평가판

 

나머지 10명은 나중에 전환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됩니다.

이제 2일차에 100명이 더 평가판에 등록하고 평가판 프로세스 중에 10명이 취소하기로 결정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결제가 실행되고 10명이 추가로 결제에 실패합니다. 표준 재시도 로직이 하루 후에 신용 카드를 재시도하는 것이라면 실패한 10건의 청구 거래가 재시도 대상에 포함됩니다. 이 중 5건은 통과하여 전환되고 5건은 실패하여 독촉 프로세스에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9일차에는 2일차에 가입하여 청구가 통과된 80명, 자발적으로 이탈한 10명, 독촉을 통과한 5명 등 95명의 적격 전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환율은 89.5%(85/95)가 됩니다.

전환율 애플리케이션

일일 전환율을 취하여 총 30일 동안의 평균을 구하여 월별 전환율을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 수준까지 세분화하면 이상값을 부드럽게 처리하고 일관된 수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캠페인과 고객 코호트로 기반을 세분화하면 고객을 얼마나 잘 확보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캠페인이 장기적으로 서비스에 머무르는 유료 고객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는지 일관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무료 평가판 모범 사례

적절한 평가판 전환 지표를 설정하면 고객들이 성공한 몇 가지 모범 사례를 테스트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 평가판을 짧게 유지하세요. 7일 평가판이 가장 전환율이 높습니다. 잠재 구독자가 몇 개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라이브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합니다. 평가 기간이 길면 동영상 서비스를 평가할 시간이 길어져 첫 달 해지율이 낮아진다는 주장도 있지만, 저희의 경험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 온보딩 프로그램에 참여하세요. 평가판을 위한 일관된 온보딩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은 처음 몇 달 동안 이러한 고객을 전환하고 유지하기 위한 좋은 첫 단계입니다. 예를 들어, 관심 지수가 높은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이메일을 보내면 각 시청자가 처음 며칠 동안 즐겁게 지낼 수 있습니다. 숨겨진 보석은 콘텐츠 라이브러리의 깊이를 보여주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멈춰버린 트라이얼리스트
  • 중단된 체험단을 타겟팅하세요. 어떤 사람들은 가입하고 동영상을 한 번 시청한 후 다시는 참여하지 않습니다. 이 코호트의 전환율을 높이려면 조금 더 적극적인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중단된 체험단을 파악하고 정기적인 온보딩 프로그램 외에 최소 한 번 더 이메일을 보내세요. 공유율이 높은 타이틀을 홍보하는 것은 이러한 체험단을 첫 번째 동영상을 넘어 라이브러리로 유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더 많은 시청 옵션을 광고하세요. 브라이트코브 고객 성공 팀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디바이스에서 시청하는 체험단은 1개 디바이스에서만 시청하는 체험단보다 전환율이 10~1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탈로그에서 선택한 타이틀을 홍보하는 것 외에도 체험단 메시지에 투자한 다른 앱과 디바이스에 대한 광고를 추가해야 합니다. 체험단이 두 번째 디바이스에서 로그인하도록 유도하면 유료 구독자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를 통한 무료 평가판 최적화

체험단이 구독자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시간은 며칠밖에 없습니다. 마케팅 또는 이메일 도구로 신속하게 각 코호트를 타겟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데이터는 최적의 타겟을 정의하고 전환율이 높은 제목을 식별하여 광고 소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 오디언스 인사이트는 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데이터를 조율하고 내보낼 수 있으며, CSV 형태로 또는 Hubspot, Sailthru 또는 Segment와의 직접 통합을 통해 내보낼 수 있습니다. 오디언스 인사이트는 중단된 트라이얼리스트와 최고의 트라이얼 드라이버가 되는 동영상을 식별합니다. 또한 고객 성공 팀은 1~2주마다 고객과 만나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추가적인 비즈니스 분석가 역할을 수행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회를 파악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PLAY 에피소드 '숨겨진 보물: 콘텐츠 라이브러리 최대한 활용하기'에서 확인하세요.

2019년 4분기 글로벌 비디오 인덱스: CTV 증가, 스마트폰 비디오 증가

크기 면에서 스펙트럼의 반대편에 있는 스크린의 증가는 스트리밍 세계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진화의 한 예일 수 있습니다. 한때 스크린의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며 손에 들고 있는 스크린이 무엇이든 시청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스크린을 선택했다면, 이제 시청자는 진화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소싱하고 연결된 TV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합니다.

태블릿과 데스크톱 컴퓨터는 입지를 잃고 있는 반면, 컴퓨터는 동영상 조회수가 10% 이상 감소하는 등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위기 상황에서 온라인 뉴스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스트리밍 비디오가 전 세계적으로 주류가 되었다는 사실에 의심의 여지가 있다면, 소비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과 관련된 뉴스를 접하는 방식이 이를 종식시켜야 합니다.

브라이트코브의 데이터에 따르면 스트리밍 미디어/엔터테인먼트와 스트리밍 뉴스 시청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거의 확실하게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로 인한 것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소비자들이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를 시청하기 위해 스크린 앞에 모여들거나, 최신 뉴스에 대한 니즈로 인해 시청자들이 더 자주 스토리를 확인하게 되면서 전년 대비 스트리밍 수치는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3월 첫 2주간 뉴스 동영상 시청 시간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반면, 실제 동영상 시청 횟수는 31% 이상 급증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3월 13일 하루에만 온라인 뉴스 시청 시간이 1년 전보다 47% 증가했으며, 뉴스 동영상 조회수는 66% 가까이 급증해 지난 2년간 1분기 하루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예전에는 방송사가 뉴스 기사를 개발하는 주요 소스였지만,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소비자들이 최신 업데이트는 물론 자신에게 중요한 뉴스에 대한 심층 보도를 위해 스트리밍 뉴스 소스를 점점 더 많이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스 제공자는 스트리밍을 통해 즉시 뉴스를 업데이트하고, 더 광범위하고 심층적인 보도를 제공하며, 전 세계의 다양한 관점을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임의의 시간대에 뉴스를 끼워 맞추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더 나은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019년 4분기 글로벌 동영상 지수, 시청 시간 증가 추세

2019년 4분기 글로벌 동영상 인덱스에 따르면 4분기 전체 시청 시간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하며 4분기에 거의 4분의 1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커넥티드 TV의 시청 시간은 전 세계적으로 전년 대비 114% 증가하여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스마트폰은 30%, 태블릿은 6% 증가했습니다. 컴퓨터의 시청 시간만 약 2% 감소했습니다.

호주/뉴질랜드에서는 커넥티드 TV 시청 시간이 173% 증가했으며, 북미에서는 스마트폰 시청 시간이 53% 이상 크게 증가했습니다.

마케팅 및 영업 부문에서 모바일 사용 증가

4분기에는 온라인에서 소비자에게 다가가려는 마케터들에게 스마트폰이 대세였습니다. 전 세계 마케팅 동영상 조회수의 62% 이상이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스마트폰 마케팅 동영상 비율은 전년도 55%에서 82%로 더욱 높아졌습니다. 뉴질랜드는 55%, 유럽은 62%, 라틴 아메리카는 61%, 북미는 53%로 증가했습니다.

컴퓨터는 모든 지역에서 소매 및 마케팅 동영상 조회수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태블릿이 그 뒤를 이었고 커넥티드 TV는 그보다 훨씬 뒤처졌습니다. 모든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동영상 조회수 점유율이 높아진 반면, 컴퓨터의 점유율은 하락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컴퓨터의 동영상 조회수 점유율이 50% 이상 감소했으며, 일본/한국에서는 북미와 마찬가지로 컴퓨터가 처음으로 스마트폰에 뒤처졌습니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스마트폰 점유율이 49%로 증가하며 분기 중 컴퓨터와 동률을 이뤘습니다. 그 외 모든 지역에서는 스마트폰이 컴퓨터를 앞질렀습니다.

태블릿은 모든 지역에서 하락세를 보였고 커넥티드 TV는 제한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청자들이 계속해서 대형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찾고, 더 많은 프리미엄 콘텐츠가 TV에 등장하고, 마케터들이 이를 따라가면서 커넥티드 TV 점유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스마트폰에서 리테일 및 마케팅 동영상에 대한 참여도(시청 시간)는 모든 시장에서 증가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380%), 호주/뉴질랜드(+41%), 유럽(+78%), 일본/한국(+12%), 중남미(+52%), 중동/북아프리카(+91%), 북미(+71%).

결론

글로벌 동영상 지수에서 알 수 있듯이 4분기는 전통적으로 OTT의 성장 분기였으며, 연말연시에는 새로운 디바이스에서 시청 시간이 증가하고 콘텐츠와 플랫폼을 대중의 눈에 띄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정보와 뉴스가 공유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상당수가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기 위해 '자택 대피'를 시작하면서 스트리밍 동영상이 얼마나 발전했는지에 대한 진정한 척도는 2분기에 더욱 분명해질 것입니다. 스트리밍 동영상 소비량이 증가할까요? 물론 그럴 것입니다.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에 비디오가 필요한 이유

강력하고 확장 가능하며 민첩한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의 필요성은 오늘날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취소가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취소에 대한 대안이 있습니다: 혁신적인 기업들은 외부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에 비디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의 즉각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가상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비즈니스 연속성 프레임워크 내에서 외부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산업 전반의 비디오 활용 사례 중 몇 가지 강력한 사례입니다.

이벤트 회사

비디오 전략을 채택한다는 것은 컨퍼런스 트랙을 라이브 스트리밍하고 웹사이트와 소셜 미디어에 비디오를 게시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직후 녹화본을 온디맨드로 제공하는 등 온라인 콘텐츠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보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라이트코브 비디오 플랫폼은 스포츠, 정치 선거, 업계 컨퍼런스 등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이벤트를 라이브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소매업체

유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온라인 이커머스 주문이 일주일 만에 최대 300%까지 급증하여 일부 리테일러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리테일러는 휴고 보스의 라이브 스트리밍 패션쇼와 같이 몰입도 높은 온라인 경험을 만들어 제품을 보여줘야 합니다. 이제 브랜드는 카트 결제 및 배송 옵션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포함하도록 이커머스 전략을 발전시켜야 할 때입니다.

라이프스타일 및 웰니스 브랜드

중국의 룰루레몬은 체육관 폐쇄로 인해 실내에서 운동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에게 직접 트레이닝 클래스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알로모브스나 펠로톤과 같은 온라인 피트니스 브랜드는 집에서 운동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구독과 동영상 스트리밍 트래픽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정부 기관

모든 뉴스 속보 시나리오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정부 전략의 핵심입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대중과 소통하고 디바이스에 직접 업데이트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부 기관이 디지털 혁신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시민과의 소통 채널을 확대하는 것은 핵심 전략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특히 비디오 요소가 포함된 커뮤니케이션은 더욱 매력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교육

학교 휴교로 인해 수업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경우, 비디오 온라인 학습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교는 원격 학습 옵션을 구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지만, 2020년 기술의 장점은 교육 기관이 연속성 계획으로 비디오 스트리밍을 신속하게 채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라이브 해설 없이 슬라이드 웨어를 업로드하는 매우 수동적인 프로세스를 이제 강사가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강의를 동영상 형식으로 업로드하고 게시한 다음 다양한 장치와 브라우저를 통해 스트리밍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스트리밍 기술의 발전으로 학교는 원격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쉽게 지원하고 정규 수업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라이브 스트리밍이든 온디맨드이든, 비디오는 학생들이 교과 과정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비상 계획이 될 수 있습니다.

종교 기반 조직

이러한 단체는 대부분 회원들의 물리적 참석에 의존해 왔지만 이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신도들이 혼잡한 환경을 피하면서 종교 단체들은 메시지를 공유하고 행사, 설교, 예배를 홍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을 가정이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신도들에게 비디오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와 조직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오프라인 및 온라인 채널을 통해 고객과 직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이 필요합니다.

코로나 사태에서 발견한 새로운 시장 온라인 이벤트 수요 증가의 미래

2020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시작한 지 벌써 1년 반이 지났고, 우리는 지금 이 상황을 뉴노멀로 보고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한 단계에 와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온라인 이벤트와 웨비나가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는 그동안 웹 미디어 'JBpress'의 온디맨드 비디오 콘텐츠 전송에 브라이트코브를 사용해 왔지만, 뉴노멀 시대에 맞는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으로 온라인 이벤트 및 웨비나 관리를 위한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 기능을 도입한 첫 번째 기업 중 하나로,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은 '브라이트코브 라이브'에 추가할 수 있는 옵션 기능으로,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원하는 순서대로 비디오 콘텐츠를 쉽게 구성하고 전달하거나 지정된 시간에 전달하거나 24시간 반복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이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재난으로 고객사 수요 증가

일본 비즈니스 프레스의 미디어 사업부 우야마 유스케에 따르면, 'JBpress'는 온라인 이벤트와 웨비나를 활용해 코로나 사태에서 광고주 대상 마케팅 지원 사업 실적을 크게 늘렸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실제 세미나 등의 운영 비용이 너무 커서 내부 자원을 투입하기 어려웠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이후 고객사의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편성하듯 배포할 콘텐츠의 순서를 미리 프로그래밍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이 서비스를 아웃소싱했지만 이제는 사내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유스케 우야마 씨
일본 비즈니스 프레스, 미디어 사업부 매니저
점점 더 높아지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JBpress는 온라인 이벤트 및 웨비나 관리 전담팀을 구성하고, 초기에는 아웃소싱으로 진행하던 세미나 운영을 사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인 이유는 "코로나 사태에 대한 일시적인 대안 이상의 가능성과 이점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이벤트에서는 볼 수 없는 3가지 혜택

우야마 씨에 따르면 온라인 이벤트와 웨비나에는 "세 가지 해방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장소로부터의 자유'입니다. 오프라인 행사에서는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사람들이 참여하기에는 장벽이 높지만, 온라인 행사나 웨비나에서는 청중의 위치에 제한이 없습니다. 최근 공공 부문을 위한 DX 전략에 대한 온라인 이벤트를 개최했을 때 다양한 지방 정부에서 시청자가 참여했습니다. 참가자들이 부담을 덜었다며 좋아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시간의 자유'입니다. 콘텐츠를 미리 녹화할 수 있으면 발표자가 편한 시간에 촬영하여 전달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파수의 자유'입니다. 온라인 이벤트인 'JBpress DX Week'는 평일에 진행되었지만, 도전 과제로 토요일과 일요일에 재방송을 진행했습니다.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미리 녹화한 콘텐츠를 가장 적합한 전송 프로그램으로 재편성하여 토요일과 일요일에 이벤트를 재송출했습니다.

요점은 아카이브를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재방송하는 것입니다. 요점은 아카이브를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재생하는 것입니다. 이는 콘텐츠의 희소성을 유지하면서 바쁜 평일 시청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JBpress DX Week가 열린 2주 동안 3,000명이 등록했고, 그 중 70%가 실제로 참여했습니다. 스폰서와 시청자 모두 온라인 이벤트 개최의 중요성과 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직급별로 보면 응답자의 40% 이상이 부장급 이상이었습니다. 이는 바빠서 실제 행사에 참석하기 어려운 분들도 장소와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참여가 가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으로 코로나 재해로 인한 비즈니스 기회 복구 지원

한동안 온디맨드 비디오 전송에 브라이트코브 플랫폼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을 도입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온라인 이벤트와 웨비나를 위한 배포 설정을 외부 배포 회사에 아웃소싱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속도가 느렸습니다. '브라이트코브 클라우드 플레이아웃'을 도입한 이후에는 TV 프로그램을 편성하듯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순서를 미리 프로그래밍하고 관리할 수 있어 사내에서 손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배포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되어 사업적으로도 성공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금은 한 달에 많게는 10회까지 세미나를 개최하는 전담 팀이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의 비디오 전송 시스템은 시청자의 환경에 적합한 화질의 비디오를 자동으로 선택해 표시합니다. 덕분에 시청자가 가끔씩 영상을 볼 수 없다거나 영상이 너무 거칠다는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가장 기본적이지만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만족스러운 측면은 시청자에게 일관된 동영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제이비프레스는 코로나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온라인 이벤트와 웨비나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온라인 이벤트 및 웨비나 사업이 우리 비즈니스의 새로운 축으로 성장한 것은 품질과 일관성 있는 서비스 제공 덕분입니다.

미디어 기업을 위한 온라인 이벤트 및 웨비나의 미래

온라인 이벤트 및 웨비나 비즈니스는 코로나 사태에서 찾은 새로운 상업적 기회입니다. 우야마 씨는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브라이트코브 비디오 클라우드의 뛰어난 데이터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스폰서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어떤 시청자가 어떤 콘텐츠를 얼마나 많이 시청하는지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기사를 주로 읽는지, 언제 언제 우리 고객사의 웹사이트를 방문하는지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후 발송된 이메일의 열람률을 분석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면 휴면 사용자를 발굴하고 직접적인 영업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애프터 코로나의 경우 실제 이벤트와도 접목할 계획입니다. 온라인 이벤트나 웨비나를 통해 먼저 다가가고, 실제 행사에서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닛폰 비즈니스 프레스는 2021년 말에 또 다른 대규모 온라인 이벤트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동영상 배포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채널을 통해 미디어 회사로서, 콘텐츠 제작 회사로서 큰 발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됩니다.

"K"라인이 전 세계 직원들을 연결한 방법

가와사키 키센 카이샤는 국제 운송을 전문으로 합니다. 직원들은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 항구와 선박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2021년 10월부터 전 세계 직원들과 경영 계획을 공유하기 위한 도구로 사내 커뮤니케이션 비디오 미디어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Microsoft 365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공유했지만, 2022년 12월에 브라이트코브의 비디오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전환했습니다. 이제 일본 내 제한된 수의 구성원만 공유하던 동영상을 해외 근무 직원과 타사 파견 직원에게도 배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브라이트코브, 사내 커뮤니케이션 비디오 미디어 플랫폼으로 채택됨

경영기획그룹은 회사의 중심에 있습니다. 회사의 방향을 설정하는 경영 계획이 직원들에게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 방법을 고민해왔습니다. "기존에는 사장이 직접 타운홀 미팅을 열어 각 부문별 재무 실적과 경영 계획을 설명했는데, 기본적인 내용을 영상으로 만들면 전 직원에게 한 번에 같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또한 과거 영상도 시청할 수 있고, 시청 이력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직원들의 이해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타무라 씨) 이런 맥락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직원들이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고 싶도록 디자인에 신경을 썼습니다. Video Cloud는 동영상을 게시할 수 있는 다양한 갤러리가 있고, 브랜드 색상과 같은 사용자 지정 옵션이 있어 설정이 쉬워 좋았습니다.

무라카미 카즈 씨
기업 기획 그룹, 총괄 기획팀
"2019 회계연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물류에 차질이 생기고 사업 실적을 예측하기 어려웠습니다. 동시에 라이프스타일과 업무 방식이 크게 변화하면서 회사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경영 계획을 전파해야 할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더 이상 타운홀 미팅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때 상사가 동영상을 활용해보자고 제안했고, 2021년 5월에 경영기획그룹과 지속가능성-환경경영추진-IR-홍보그룹이 협업하여 동영상 배포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무라카미). 사내에서 이미 사용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했고, 6개월 만에 사내 동영상 미디어 'K'라인 위드를 론칭했습니다. "처음에는 분기별 결산과 경영 계획의 진행 상황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사내 정보 공유의 장으로 다른 부서에서 제작한 영상도 배포하면서 콘텐츠가 점점 풍성해졌죠. 반면, 배포를 담당하던 저희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전체 사이트를 조정하고 업데이트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트래픽 폭주로 인해 재생 속도가 느려지거나 멈추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보안 문제로 인해 배포처가 제한되어 타사로 이직했거나 해외 법인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전달할 수 없는 것도 병목현상이 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의 매력은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작업량을 50%까지 줄일 수 있었습니다.

브라이트코브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처음부터 직원들이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고 싶도록 디자인에 집중하고 싶었지만 사내에서 진행하다 보니 그럴 여력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Video Cloud에는 동영상을 게시할 수 있는 다양한 갤러리가 있어서 필요에 맞는 갤러리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재생 버튼도 RGB 색상을 지정하여 회사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글로벌 배포나 안정적인 재생 환경과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무라카미) "브라이트코브 영업 담당자가 계약 전에도 친절하게 설명해준 점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기능적으로도 썸네일 등 세부적인 퍼블리싱 설정을 쉽게 할 수 있어 설정에 필요한 작업량을 50% 정도 줄일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업무가 너무 개인화되는 것도 우려했는데, 설정이 쉬워져 이직하더라도 후임자가 쉽게 인수인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아오키)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거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동영상을 활용한 사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제작했습니다.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여 완전한 사내 제작을 성공적으로 달성했습니다.

배포 설정에 필요한 시간: 50% 감소
사내 팀별 배포 빈도: 주당 최소 1회의 동영상 배포

재무 결과에 대한 설명을 전 세계 직원에게 즉시 배포합니다.

를 통해 사내에서 동영상 배포의 이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Video Cloud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해외 또는 해상에서 근무하는 직원이 많은 가와사키 키센의 특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제 회사 내 일체감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영상 매체가 생겼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가장 최근에는 결산 발표 당일에 결산에 대한 동영상 해설을 공개했습니다. 일반적인 재무 결과 발표 작업과 함께 동영상을 제작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전문 내레이터에게 내레이션을 의뢰하고,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고, 오디오와 비디오를 결합하고, 영상을 미리 보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총 2~3일 정도 걸렸던 것 같아요. 어쨌든 실적 발표 당일에는 관심이 많기 때문에 사람들이 영상을 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공개 날짜에 신경을 많이 썼어요. 결산 발표 당일에 빠르게 공개해야 하기 때문이죠. 자체 제작을 하기 때문에 가능한 속도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부서의 영상도 올리고, 전 세계를 항해하는 선박에서 촬영한 영상도 업로드합니다. 바다에 있는 배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육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절대 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바다와 육지를 연결한다는 취지로 매주 새로운 영상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직원들에게 영상 촬영을 요청하지만 강요하지는 않습니다. 회사에서 전사적으로 공유하고 싶은 사안을 영상으로 공개하는 것의 효과를 인식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관리 계획의 추가 배포 및 내부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

사내 동영상 미디어 'K'라인 위드가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앞으로의 다양한 발전 방향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토록 바라던 글로벌 배포를 드디어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선은 다른 부서에서 공유하고 싶은 프로젝트 영상을 지속적으로 올리는 한편, 현재 개발 중인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참고해 운영 계획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향후에는 회사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가 있는 외부 대상의 소유 미디어를 만들고 싶습니다."(무라카미)

가와사키 키센은 직원들을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 이전처럼 문서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자체 동영상을 제작하는 단계로 나아갔습니다. 더 깊은 이해가 비즈니스 성과에 기여하는 날이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고객 연락처: https://www.kline.co.jp/ja/index.html

OTT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GOOGLE 애널리틱스 4 설정 방법

2019년에 구글은 구글 애널리틱스 SDK를 사용한 모바일 앱 보고를 일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OTT 모바일 앱에서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기업은 Google의 후속 서비스로 전환해야 했습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4.

Google 애널리틱스 4는 앱과 사이트에서 생성된 OTT 동영상 재생 이벤트를 추적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또한 단순한 조회 수보다 훨씬 더 심층적인 수준에서 서비스에서 콘텐츠의 인기도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의 실시간으로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시작하기 4

처음부터 데이터 수집을 시작해야 하는 경우, OTT 데이터 분석을 위한 Google의 새로운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유형(이전의 앱 + 웹)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Google 애널리틱스에서 웹사이트와 앱 트래픽을 하나의 통합된 보기에서 추적할 수 있습니다. Google은 지원 사이트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을 만들기 위한 훌륭한 단계별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에서 새 사이트를 시작하는 것부터 이미 애널리틱스가 있는 사이트에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을 추가하는 것까지 다양한 설정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OTT 동영상 이벤트를 위한 개발 4

초기 설정

먼저, Google의 빠른 시작 가이드를 사용하여 Firebase SDK를 포함하도록 OTT 앱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미 Google 애널리틱스 4 프로퍼티에 앱 데이터 스트림을 추가한 경우, 애널리틱스에서 연결된 Firebase 프로젝트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동영상 재생 이벤트

다음으로, 특정 사용자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 Google 애널리틱스 4에 이벤트를 전송하도록 동영상 플레이어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모든 동영상 재생 이벤트가 특정 사용자와 연결되도록 사용자 ID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ID는 익명 ID(예: 사이트에서 등록할 필요 없이 무료 OTT 동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일 수도 있고 구독자 ID일 수도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는 PII에 해당하며 Google 서비스 약관에 위배되므로 사용자 ID로 사용하지 마세요. 모든 동영상 재생 이벤트의 경우 이벤트 이름을 "video_playback"으로 설정하고 이벤트에 다음 파라미터를 포함하세요:

파이어베이스 표 1

다음 작업이 발생하면 Google 애널리틱스 4로 이벤트를 전송합니다:

파이어베이스 표 2

안드로이드 샘플 코드

이 샘플 코드는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4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재생 이벤트를 보여줍니다: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private lateinit var firebaseAnalytics: FirebaseAnalytics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 firebase developer documentation
       // https: //firebase.google.com/docs/reference/android/com/google/firebase/analytics/package-summary

       firebaseAnalytics = FirebaseAnalytics.getInstance(this)

       // set user id
       firebaseAnalytics.setUserId(“test_user_id”)

       / video playback events /

       // video start
       val videoStartBundle = Bundle()
       videoStartBundle.putString(“video_event”,”start”)
       videoStart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Start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StartBundle.putInt(“video_position”,0)
       videoStart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StartBundle.putDouble(“video_progress”,0.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StartBundle)

       // video pause
       val videoPauseBundle = Bundle()
       videoPauseBundle.putString(“video_event”,”pause”)
       videoPause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Pause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PauseBundle.putInt(“video_position”,654)
       videoPause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PauseBundle.putDouble(“video_progress”,10.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PauseBundle)

       // video resume
       val videoResumeBundle = Bundle()
       videoResumeBundle.putString(“video_event”,”resume”)
       videoResume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Resume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ResumeBundle.putInt(“video_position”,654)
       videoResume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ResumeBundle.putDouble(“video_progress”,10.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ResumeBundle)

       // video rewind
       val videoRewindBundle = Bundle()
       videoRewindBundle.putString(“video_event”,”rewind”)
       videoRewind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Rewind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RewindBundle.putInt(“video_position”,327)
       videoRewind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RewindBundle.putDouble(“video_progress”,5.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RewindBundle)

       // video fast-forward
       val videoFastForwardBundle = Bundle()
       videoFastForwardBundle.putString(“video_event”,”fastforward”)
       videoFastForward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FastForward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FastForwardBundle.putInt(“video_position”,4905)
       videoFastForward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FastForwardBundle.putDouble(“video_progress”,75.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FastForwardBundle)

       // video stop
       val videoStopBundle = Bundle()
       videoStopBundle.putString(“video_event”,”stop”)
       videoStop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Stop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StopBundle.putInt(“video_position”,6000)
       videoStop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StopBundle.putDouble(“video_progress”,91.74)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StopBundle)

       // video skip
       val videoSkipBundle = Bundle()
       videoSkipBundle.putString(“video_event”,”skip”)
       videoSkip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Skip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SkipBundle.putInt(“video_position”,6000)
       videoSkip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SkipBundle.putDouble(“video_progress”,91.74)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SkipBundle)

       // video progress
       // send progress events at:
       // – first 30 seconds reached
       // –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of video completion
       val videoProgressBundle = Bundle()
       videoProgressBundle.putString(“video_event”,”progress”)
       videoProgressBundle.putString(“video_id”,”tt7984734″)
       videoProgressBundle.putString(“video_title”,”The Lighthouse”)
       videoProgressBundle.putInt(“video_position”,654)
       videoProgressBundle.putInt(“video_duration”,6540)
       videoProgressBundle.putDouble(“video_progress”,10.0)
       firebaseAnalytics.logEvent(“video_playback”, videoProgressBundl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디버그 4

Google 애널리틱스 4에는 매우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디버그뷰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Google 애널리틱스 4 콘솔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이벤트 스트림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Google 애널리틱스 4 콘솔에서는 볼 수 없는 모든 사용자 지정 이벤트 매개변수와 값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벤트가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값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이어베이스 디버깅

빅쿼리로 내보내기

Google 애널리틱스 4와 Google 애널리틱스에는 원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있습니다. Google 애널리틱스는 지금까지 보고 API를 제공한 반면, Google 애널리틱스 4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합니다: 구글 빅쿼리.

Google 애널리틱스 4용 BigQuery를 사용하려면 몇 가지 추가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그 중 첫 번째 단계는 Firebase의 Blaze 요금제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이 요금제는 종량제 요금제로, Google은 매월 무료 사용 할당량을 제공하므로 앱에서 생성되는 트래픽 양에 따라 요금이 거의 또는 전혀 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는 구성을 활성화한 날짜부터 제공되기 시작하므로 가능한 한 빨리 BigQuery와의 링크를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는 BigQuery에 소급하여 채워지지 않습니다.

BigQuery를 설정하면 몇 가지 주요 이점이 있습니다:

  •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임시 분석.
  • 원시 데이터에 쉽게 액세스하세요.

사용자 지정 매개변수와 같은 특정 데이터는 Google 애널리틱스 4 콘솔에서 전체 데이터를 볼 수 없는 반면, 모든 데이터는 BigQuery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는 전체 데이터 세트에 의존하는 고급 사용자 및 브라이트코브 오디언스 인사이트와 같은 타사 오디언스 분석 플랫폼의 경우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