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 디지털 마케팅

사내 커뮤니케이션 시리즈 2 - 클라우드를 통한 사내 방송시스템 개선

디지털 마케팅

과거 사내방송은 위성 신호를 받아 영상을 전송하는 위성 사내방송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으로 사내방송을 서비스하는 방법이 다양해졌습니다. 각자의 목적에 맞게 지역별 셋톱박스를 통해 PC 팝업 방송을 하기도 하고 각 지역 TV로 사내방송을 송출하기도 합니다. IPTV 방식의 사내방송 또한 위성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사내방송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사내방송은 실시간 생중계를 지원할 뿐 아니라 PC, 스마트폰, 태블릿, STB, TV 등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 방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어떤 사내방송보다 효율적으로 기업 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솔루션을 활용하는 사내방송 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VOD 업로드

관리자가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VOD를 업로드하면 비디오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해 손쉽게 PC 및 모바일 그리고 사내 게시판에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아카이빙 시스템 활용

디지털 아카이빙 시스템을 활용 중인 경우 레거시 시스템 및 API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할 수 있고, 업로드 된 비디오를 안드로이드, iOS 등의  모바일 플랫폼 앱에서 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사내 생방송 송출

기업에서 실시간으로 교육이나 행사영상을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송용 인코더를 활용해 생방송을 송출하면 브라이트코브 비디오 클라우드에서 배포하고자 하는 지역의 셋톱박스로 비디오를 전송해 모든 직원들이 고화질의 영상을 TV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사내방송 솔루션 활용 사례

  • 그룹의 여러 계열사에서 그룹 방송과 각 계열사 방송을 따로 진행하는 경우

계열사 및 그룹의 방송 담당자들은 브라이트코브의 비디오 클라우드로 비디오를 업로드 해 그룹 미디어나 각 계열사 게시판을 통해 그룹직원 혹은 각 계열사 직원들에게 영상을 전달합니다.

  • 비디오를 활용해 사내교육을 진행하는 경우

사내교육을 담당하는 방송 콘텐츠 팀에서 브라이트코브의 비디오 클라우드로 비디오를 업로드 하면 API 퍼블리싱을 통해 자동으로 게시판에 비디오가 업로드 되고 전용 모바일 앱이나 웹페이지에서 인증과정을 거쳐 교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STB를 통한 글로벌 사내방송 자동화 솔루션을 활용하는 경우

원거리 또는 해외 지사에 있는 직원에게 사내 방송을 전송할 때 셋톱박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시간에 콘텐츠를 TV를 통해 지사의 직원에게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속도가 느리더라도 다운로드 후 방송을 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습니다. 더불어 셋톱박스, TV, 비디오 클라우드와의 연동을 통해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STB 및 TV를 켜고, 미리 등록된 사내방송 비디오를 재생합니다.

  • 비디오 포털을 이용해 사내방송을 지원하는 경우

브라이트코브의 "Gallery"를 통해 더 쉽고 효율적으로 비디오 기반의 사내 포털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한 번의 시스템 인증을 통해 다양한 정보 시스템에 재인증 없이 접근할 수 있는 Gallery의 SSO(Single Sign-on) 기능을 활용해 직원들은 불 필요한 인증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내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브라이트코브는 다양한 고객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Active Directory Federation Service (ADFS)와 Active Directory (AD)와 함께 원로그인 (OneLogin)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IP 주소에 따라 시청자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기업 내부에서나 제한 된 조직에서만 비디오 시청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